반응형

합병이란

둘 이상의 기업이 상법의 규정에 따라 신설 합병 또는 흡수 합병의 방법으로 하나의 기업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합병의 핵심은 시너지 효과로, 시너지가 나온다면 1 + 1이 2보다 커지는 것입니다. 합병과 유사한 기업 인수도 시너지 효과를 위한 것입니다. 

기업 인수

합병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기업이 합쳐 하나의 기업이 되지만, 다른 한쪽이 존속합니다. 인수는 A가 B의 지분을 인수하는 것이기 대문에 모회사와 자회사의 관계가 되어 B는 B대로 남아 있게 됩니다. 

기업인수
출처 : 슈퍼개미의 왕초보 주식수업

흡수합병

흡수 합병은 A+B=A, 신설 합병은 A+B=C인 구조이므로 B는 사라집니다. 상장기업의 경우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신설 합병보다 흡수 합병을 더 많이 이용합니다. 

출처 : 슈퍼개미의 왕초보 주식수업

합병 비율

합병비율은 피합병 기업의 주주들에게 합병 기업의 주식을 얼마나 줄 것인지를 말하는데, 비율에 따라 합병 기업이 더 유리한지, 피합병 기업이 유리한지가 결정되며, 이는 주가에 반영됩니다. 

 

또한 시너지 효과는 명목일 뿐, 실질적으로 기업의 대주주가 경영권을 강화할 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합병의 목적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 이정윤 [슈퍼개미의 왕초보 주식수업] 중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