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뒷심 발휘하는 해리스
지지율 상승하며 초접전 양상

11월 5일(현지 시간) 미국 대선이 치러지는 가운데 트럼프(왼쪽)와 해리스의 지지율이 초접전 양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은 모른다. 11월 5일(이하 현지 시간) 치러지는 미 대선이 예측하기 어려운 흐름으로 접어들고 있다. 미 월가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관련한 테마주를 집중적으로 사들이는 ‘트럼프 트레이드’가 활기를 띠며 그의 승리를 낙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트럼프를 근소하게 앞서고 있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어 미 대선 결과가 미궁에 빠졌다.

 

10월 30일 CNN은 대선의 승패를 좌우할 러스트벨트 3개 경합주 중 2곳에서 해리스의 지지율이 트럼프를 박빙으로 앞서고 있으며 나머지 한 곳에선 동률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CNN에 따르면 미시간주의 경우 해리스 부통령이 48%, 트럼프 전 대통령이 43%의 지지를 각각 얻었다. 위스콘신주에서는 해리스 부통령 51%, 트럼프 전 대통령 45%의 지지율을 보여 두 곳에서 해리스 부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최대 경합주로 꼽히는 펜실베이니아주에선 해리스와 트럼프가 각각 48%의 지지율로 동률이었다.10월 29일 로이터통신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입소스가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도 해리스 지지율은 44%로 트럼프(43%)를 근소하게 앞섰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트럼프 대세론이 굳어지는 것처럼 보였으나 해리스가 뒷심을 발휘하며 두 후보의 초박빙 접전이 이어지는 양상이다.

 

상황이 이렇자 이번 대선이 예측 불허의 판세로 흘러갈 것이라는 관측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두 후보 중 누가 선거 당일 지지자들을 투표장으로 더 끌고 나오느냐에 따라 승부가 갈릴 것이라고 관측했다.이 가운데 트럼프 진영 측의 실언이 대선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된다. 트럼프는 10월 27일 뉴욕 유세에서 찬조 연설자로 앞세운 코미디언 토니 힌치클리프가 푸에르토리코를 ‘떠다니는 쓰레기 섬’이라고 조롱하며 곤란한 처지가 됐다. 이 발언에 미국 내 600만 명에 이르는 푸에르토리코 출신은 물론 라틴계 유권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다만 여전히 시장에서는 트럼프의 승리를 낙관하는 분위기다. 10 31 기준 베팅사이트 폴리마켓에서 트럼프 승리 확률은 62% 반면 해리스의 승리 가능성은 38% 나타났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