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연에서 발견한 기하학적 조형미

예로부터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과 생물에 대해 형태적인 아름다움을 느낀 사람들은 자연의 조형미를 이루는 법칙을 연구했습니다. 그들은 식물이나 생물에 존재하는 크기 비율이나 무늬에 기하학적 법칙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자신들의 건축물이나 조각, 미술품 등에 비율을 적용했습니다. 황금비는 인체, 동물, 곤충, 식물 등의 자연계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하학적 비율로는 근사값 1:1.61803..에서 소수 셋째 자리까지만 나타낸 1.618을 황금비(Golden Ratio)라고 합니다. 

 

황금비 역사

황금비는 아래 사진과 같이 앵무조개와 해바라기의 성장 패턴,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비율에서 탄생했다고 전해집니다. 

하나고 조계성 쌤의재미난 수학세계 - 황금분할과 황금나선 참고

앵무조개 껍데기해바라기 성장패턴아테네 파르테논 신전
앵무조개 껍데기

중세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예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자신이 집필한 [인체 비례도 Vitruvian Man】라는 책에서 인체의 비율을 설명하며 황금비를 언급합니다.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황금비 만드는 방법 1

황금비 만드는 방법

 

 

황금비 만드는 방법 2

golden ratio 그리는 방법
golden ratio 그리는 방법

위 작업을 반복해서 붙이면 아래 그림처럼 쉽게 황금비율을 만들수 있다. 

황금비 사각형
황금비 사각형

Golden Ratio ai 다운로드

GoldenRatio.ai
1.14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