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쇼핑, 주유 등을 통해 쌓은 백화점·주유소·카드 포인트와 신용카드마일리지를 서울페이플러스 포인트로 전환해 골목상권과 소상공인 업소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민간기업이 발행해 자사나 계열사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마일리지와 포인트(이하 마일리지)를 서울페이플러스 포인트로 전환해 사용하는 ‘동행마일리지’ 제도를 2월 말부터 본격 시행한다.

 

이는 서울시가 지난해 말 발표한 소상공인 힘보탬프로젝트의 일환이다.‘동행마일리지’에는 ▲현대백화점 ▲S-OIL ▲신한은행 ▲신한카드 등 4개 기업이 우선 참여한다.

 

현재 이들 기업이 운영하는 마일리지 규모는 총 1조 7000억 원에 달한다. 이 중 10%만 ‘동행마일리지’로 전환돼도 별도의 예산투입 없이 약 1700억 원 상당의 서울사랑상품권 발행효과가 있다는 게 서울시 측 계산이다.

 

서울시는 이번 제도를 통해 시민과 소상공인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소비자는 그간 기업별 소액으로 분산돼 사용이 어려웠던 민간 마일리지를 서울페이플러스 앱 내 ‘동행마일리지’로 통합해 약 27만 개 소상공인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고 소상공인가맹점은 결제수수료 ‘0원’의 ‘동행마일리지’를 결제 수단으로 받아들여 실질적인 매출 증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시는 마일리지 전환시스템 운영과 결제처 확대 홍보와 행정전반을 지원하고 참여기업은 민간 마일리지의동행마일리지로의 전환 활성화와 이용자 대상 홍보를 추진하며 상호 협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