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재용·올트먼·손정의 3자 회동
삼성전자 HBM·eSSD 힘보태면
AI 데이터센터 구축 동력 확보
中딥시크 맞서 영향력 넓힐수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의 3인 회동이 성사된 가운데 국내 대표 반도체사인 삼성전자의 역할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추진 중인 AI 인프라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합류할 경우 AI 반도체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최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아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하드웨어(반도체)에서 힘을 보탠다면 '한미일' 동맹을 중심으로 한 AI 생태계 영향력이 더 확장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삼성 반도체·자본 힘 보태나 

 

4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진행된 이재용 회장, 올트먼 CEO, 손정의 회장의 3인 회동 핵심 주제는 'AI'와 '반도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동에선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주축이 돼 추진되고 있는 스타게이트 관련 논의가 다수 오갔을 것으로 관측된다. 스타게이트는 대규모 AI 인프라 프로젝트로, 오픈AI와 소프트뱅크 등이 AI 합작사 스타게이트를 만들어 향후 4년간 5000억달러(약 730조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에 AI 데이터센터 등을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서 소프트뱅크는 자금을 조달하고, 오픈AI는 전반적인 운영과 AI 모델 개발을 책임진다. 

 

이날 3자 회동에서는 삼성전자가 이 같은 스타게이트 생태계와 포괄적 협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삼성전자는 데이터센터에서 AI를 학습하고 추론하기 위해 필요한 고대역폭메모리(HBM)나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등을 생산하고 있어 AI 데이터센터 구축이 필요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든든한 우군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이 정도급의 주요 총수들이 만나는 데 단기간에 회동이 결정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계획된 큰 투자 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만남일 가능성이 크고, 이렇게 세 국가의 주요 기업인들이 모였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韓美日 "동맹 강화로 위기 극복" 

 

이번 회동은 한국, 미국, 일본의 AI 산업을 대표하는 3사의 만남으로도 주목받는다. 각 사 모두 서로에 필요한 부분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올트먼 CEO는 AI 가속기 시장 1위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 등을 낮추기 위해 자체 AI 반도체 생산망 구축을 염두에 두고 반도체 회사들과 폭넓게 접촉 중이다. 

 

3사가 회동을 계기로 포괄적 협력 관계를 확장해 나갈 경우 한미일 중심의 AI 생태계가 확장돼 각 사가 '윈윈'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특히 최근 중국 AI 스타트업인 딥시크의 맹추격에 맞설 동맹이 필요한 가운데 오픈AI 소프트뱅크는 다양한 방면에서 우군이 있는 삼성전자와 끈끈한 동맹을 이어가는 속도를 것으로 관측된다. 게다가 오픈AI 딥시크발 충격에 맞서 AI 전용기기와 칩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상태라 삼성전자와 협업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