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금리 넉 달 새 0.75%p 인하
가계 이자 부담 9조원 감소 추정

2월 25일 기준금리 발표.
2월 25일 기준금리 발표.

 

한국은행이 25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3.00%인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여전히 1430원을 넘나드는 원달러 환율 부담에도 금통위가 다시 금리 인하로 통화 완화에 나선 것은, 그만큼 한국 경제가 국내외 악재 속에 빠르게 추락 중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해 10월과 11월 0.25%포인트씩 기준금리를 연속 두 차례 낮췄다가 지난달에는 환율 불안 등을 감안해 동결한 바 있다.

 

경기 하강리스크가 어느 때보다도 높은 상황에서 지난달 동결 배경이 된 환율 급등세도 주춤해지면서 시장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봤다.

 

특히,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국내 정치 불확실성과 그 연장선의 내수침체는 금리 인하에 힘을 실었다.

또 채권전문가들도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55%로 동결보다 우세했다. 경기 부양이 시급한데 추가경정예산을 두고 여야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만큼 금리를 내릴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 반영된 것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성장률을 0.2%포인트 높이기 위한 15조~20조원 규모의 추경이 시급하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으나 여야 합의는 요원한 상태다.

 

설상가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인상 정책으로 촉발된 글로벌 무역갈등 조짐도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한편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추면서 지난해 10월 이후 넉 달 간 기준금리는 연 3.50%에서 연 2.75%로 0.75%포인트 떨어졌다.

 

대출금리가 기준금리 인하 폭만큼만 내려도 가계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연간 9조원 넘게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요구에도, 금융기관 대출금리가 시장금리 하락 폭만큼 하락하지 않고 있어 대출자들이 효과를 체감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