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잃지 않는 투자의 기본 6가지

1. 오후 시간에 갑자기 상승하면서 상승 VI가 발동되면 무조건 매도로 대응한다. 

 

2. 아침부터 계단식으로 상승한 종목이 2시 이후에 상승 VI가 발동되면 호가창을 보면서 판단해야 한다.

호가창에서 VI가 걸렸을 때의 가격보다 2~3호가 이상에서 시작되면 매도를 보류하고, 상승 시 거래가 터졌을 때 1차 분할매도, 즉 절반 정도만 매도로 대응하는 것이 좋다.

 

3. 어느 종목이 전날 시간 외 종가에서 상한가로 마감되었다면 최소한 그 종목의 시초가는 10% 이상 상승해야 한다.

다음날 시초가가 2~3% 정도에서 시작한다면 매도로 대응해야 한다.

 

4. 아침 장 시작 전에 허매수를 주의해야 한다. 

50~100만 주 이상 쌓아놓는 것은 허매수로 봐야 한다. 전날 상한가로 대형 호재를 터뜨리면서 상승한 종목이 다음날 아침 허매수를 잔뜩 쌓아놓고 장 시작과 동시에 매도로 돌변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어떠한 경우에도 혼자만의 판단으로 시초가 매수를 하지 말고, 관심 종목을 최소 5분 정도 지켜본 뒤 매매에 대응하는 것이 좋다.

 

5. 초단기 매매를 할 때는 오전 장 시작 5분 후부터 매수한다.

매수 종목을 고를 때는 최소한 하루에서 이틀 정도는 지켜본 뒤 매수하는 것이 좋다.

 

6. 중소형주를 제외한 거래소 종목을 매매할 때는 반드시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의 투자 주체별 매매 현황을 봐야 한다.

외국인과 연기금, 투신 이 세 기관이 최소한 연속 3일 매수한 종목을 고르는 것이 좋다.

 

 

VI란?

Volatility Interruption 변동성 방해라는 의미인데 주가가 급격하게 움직이면 그걸 잠시 막아서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VI종류 

동적VI와 정적VI 두 가지로 나뉩니다. 

 

동적VI

움직이다가 생기는 VI를 말하는데 현재 체결 가격이 직전 가격보다 갑자기 2~3% 이상 변동하면 발동합니다. 

코스피에서 2~3%, 코스닥 4~6%의 급등락 할 때 VI가 발동합니다. 

 

정적VI

주식 거래가 시작될 때 가격이 전날 가격보다 10% 이상 차이가 나면 발동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