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무역진흥기구 아시아 경제연구소 자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한 관세가 현실화하면 2027년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1% 감소할 수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3일 보도했다.
신문이 인용한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아시아 경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2027년 성장률은 관세가 없을 때와 비교해 1.1% 하락할 수 있다고 추정됐다.
광업과 농업 부문은 1.5%씩 감소해 가장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이소노 이오모 아시아경제연구소 소장은 "트럼프의 자국 중심의 고관세 정책은 '자충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세계 경제 전체의 성장을 억제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0.3%, 일본은 0.2%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미국이 다른 국가들보다 더 큰 경제 피해가 예상됐다. 하지만 멕시코와 캐나다 GDP는 각각 3.8%, 1.2% 감소할 수 있다고 연구소는 전망했다.
특히 자동차 관련 생산만 보면 멕시코는 10.7%, 캐나다는 10.2% 위축될 수 있다고 연구소는 경고했다.
미국 트럼프 차기 대통령이 내놓은 관세 인상 방안이 미국 경제 둔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주요 수입국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으로 물가 상승과 고용 감소로 이어져 미국의 2027년 국내총생산(GDP)이 1.1%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세계 최대 경제대국은 자유무역의 과실을 잃게 될 것이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아시아경제연구소는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25일 발표한 관세 정책의 영향을 추정했다.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외에 중국에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할 경우, 27년 기준 GDP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트럼프 대통령은 25년 1월에 취임해 임기는 4년이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관세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라며 선거 유세 등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를 60%로 올리거나 다른 나라에 10~20%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실현될 경우 미국과 세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