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내외 여러 불확실성 리스크로 인해 12월 각종 체감지표가 급락한 가운데 국내경제가 역성장할 것이라는 우려가 가시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iM증권에 따르면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8.4로 전월대비 12.3p 급락했다. 12월 소비자심리지수 하락폭은 코로나 팬데믹 당시였던 지난 2020년 3월 -18.3p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다.

 

소비자심리지수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체감지수도 급락했다. 12월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2로 전월에 비해 6p 하락한 62를, 비제조업 BSI 역시 12월 65로 11월 대비 4p 급락했다.계엄사태 이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와 이에 따른 ‘연말 특수’ 소멸, 달러-원 환율 급등세 그리고 중국발 저가 공세에 따른 국내 제조업 경기 악화 그리고 1월 취임할 트럼프 2.0 정책 리스크 등이 소비 및 기업들의 체감경기를 곤두박질시킨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처럼 체감경기 악화는 올해 4분기 혹은 내년 1분기 국내 GDP성장률의 역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소비자심리지수와 기업경기실사지수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는 12월 83.1로 11월 대비 9.6p 하락했다. 경제심리지수(ESI)는 성장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고려할 때 역성장 리스크가 가시화된 것이라는 판단이다.체감지표 급락뿐만 아니라 수출경기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2025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가 96.1로 24년 4분기에 비해 7.3p 하락했고 100선을 하회한 것은 올해 1분기(97.2) 이후 4분기만이다.

 

문제는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의 둔화가 아니라 그 동안 국내 수출을 견인했던 반도체 수출전망이 악화됐다는 점이다.

 

2025년 1분기 반도체업종의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는 64.4로 24년 4분기 135.2대비 급락했다. 내년 들면서 반도체 수출경기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도체 업종뿐만 아니라 가전, 전기/전자제품, IT 전반 수출경기가 악화될 전망이다. 동시에 중국산 저가 공세에 시달리고 있는 철강/비철금속제품의 수출 전망 역시 개선될 기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iM증권은 언제쯤 개선될지 모르는 체감경기 악화 속에 수출 경기마저 반도체 수출을 중심으로 둔화된다면 내년 1분기 국내 GDP성장률의 하방 리스크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