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제학자들 중 10명 중 6명은 상당 기간 경제 성장이 정체되고 성장을 견인해 나갈 산업경쟁력도 매우 비관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대학 경제학과 교수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들은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을 정부 전망치인 1.8%보다 낮은 평균 1.6%로 예상했다.특히 향후 우리 경제의 성장 전망을 묻는 말에는 가장 많은 64%가 '상당 기간 성장 정체'라고 응답했다.
‘일정 기간 하락 후 완만한 속도로 회복 지속’(35%)이라는 답이 뒤를 이어 비관적 전망이 무려 99%를 차지했다. 향후 반등해 가파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한 응답자는 아예 없었다.
전반적인 산업경쟁력에 대해서도 비관적이라는 응답이 56%로 가장 많았고 낙관적이라는 응답률은 9%에 불과했다.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자 83%가 '미국 보호무역 강화 등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 갈등에 따른 반사이익, 한미 협력 강화 등 긍정적 영향을 전망한 응답자 비율은 8%에 그쳤다.
경총은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저성장 극복을 위한 정책 필요성과 시급성을 10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산업 구조개혁 촉진과 노동시장 선진화, 기업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90%를 넘었다고 발표했다.
국가재정 운용 기조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40%가 확대가 필요하지만 확대 폭은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학자들은 올해 원달러 환율에 대해 1364원에서 1512원 사이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기준 금리는 연말(3.00%) 기준 하향 조정 가능성이 크다는 응답이 76%로 가장 많았다. 예상 기준 금리는 2.5% 이상 3.0% 미만을 전망한 응답자 비율이 6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