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감에 서울 집값 '들썩'

 

올해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5년 차를 맞은 서울 대치·잠실 등 강남권은 물론 이보다 지정이 10개월 늦은 압구정·여의도·목동 등 정비사업 추진 단지까지 허가구역 해제 기대감으로 집값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달 14일 개최된 '규제 풀어 민생살리기 대토론회'에서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서울시내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오 시장이 공식 석상에서 허가구역 해제를 약속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해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당장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엘스 아파트 일대는 허가구역 해제 예상에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높이고 있습니다.

 

현재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에서는 대지면적 6㎡의 주택을 취득하려면 시·군·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곧바로 최소 2년 이상 실거주를 해야 합니다.

 

또 주택 매수자의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자이거나, 1년 내 보유하고 있는 주택을 모두 팔아야 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불가능합니다.

 

이 때문에 4년 넘게 거래를 옥죄던 허가 규제가 풀리면 앞으로 가격이 크게 뛸 것이라는 예상에 실거래가도 상승 중입니다.

 

리센츠 전용면적 84㎡는 이달 초 19층이 28억3천만원에 거래됐습니다. 한 달 전 같은 10층이 26억7천500만원, 21층은 27억4천만원에 팔렸는데 1억∼1억5천만원가량 높은 금액입니다.

 

전용 27.68㎡는 지난달 17일 7층이 11억9천500만원에 거래됐습니다. 지난해 12월 중순 7층이 11억원, 바로 직전인 올해 1월 초 31층과 11층이 각각 11억2천만원, 9억7천500만원에 거래된 것에 비해 7천만∼1억원가량 오른 것입니다.

 

강남구 대치·삼성동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84㎡는 최근 매매 호가가 40억원에 달합니다.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높여 거래가 어려울 정도입니다.

 

재건축을 추진 중인 대치동 은마아파트도 전용 84.43㎡가 지난달 17일 30억4천만원에 팔린 데 이어 최근 30억9천만원에 거래됐다는 게 중개업소의 설명입니다. 현재 호가는 31억∼32억원으로 올랐습니다.

 

압구정·목동·성수동·여의도 등 정비사업 추진 지역도 토지거래허가 해제 기대감에 매물이 회수되고 가격이 뛰고 있습니다.

 

강남구 압구정 현대아파트 일대는 연일 신고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압구정 3구역 내 전용 196㎡는 최근 95억원에 팔렸고, 전용 84㎡ 국민주택 평형도 52억원에 매매 약정이 된 상태라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입니다.

 

오 시장의 발언 여파로 탄핵 정국 여파로 한동안 주춤하던 서울 아파트값은 다시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최근 4주간 보합세를 보이다 지난주 0.02%가 올라 상승 전환했습니다.

 

특히 송파구는 지난달 13일 조사에서는 0.04% 올랐으나 오 시장의 허가구역 해제 발언이 나온 뒤 20일 조사에서 0.09% 뛰었고, 지난주엔 0.13%로 상승률이 높아졌습니다.

 

KB국민은행 조사에서도 지난달 13일 서울 아파트값이 보합 전환하며 상승세가 멈춘 듯했으나 이후 2주 연속 0.01%씩 올랐습니다.

 

서울시는 오 시장의 발언에 따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대상지 선정에 돌입했고 이르면 이달 중 해제 대상을 확정,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이번에 허가구역에서 풀리는 곳은 강남 MICE 사업지 일대 일반 아파트로 한정되고, 재건축 추진 단지는 제외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비사업 호재 단지까지 풀어주면 자체 개발사업 호재와 맞물려 가격이 더 오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강남 허가구역 내에서도 대치 은마나 잠실 주공5단지 등은 해제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당장 4월에 허가구역 재지정 여부가 결정되는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 등 정비사업 추진 지역과 신통기획 추진 단지들도 해제 대상에서 제외될 공산이 큽니다.

 

때문에 시장이 해제 대상이 확정되지 않았는데 미리 해제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과도한 기대감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