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등 CEO들 압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제약사 대표들을 만나 미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지 않으면 관세를 물게 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21(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일 백악관에서 제약사들과 비공개 회의를 가졌다. 회의에는 일라이릴리, 머크, 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업체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에게 관세를 고리로 해외 생산 기지를 미국으로 서둘러 이전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8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의약품에 최소 25%의 관세를 물리겠다면서도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면 관세가 없다며 협상 여지를 남겼다. 19일에는 관세 부과 시점을 당초의 4월 초에서 한 달 이내로 앞당길 수 있다며 압박 수위를 높였는데, 하루 만에 글로벌 제약사들 대표를 직접 만난 자리에서 생산시설 이전을 대놓고 거론하며 재차 압박한 것이다.
다른 국가에서 의약품을 생산해 미국에 수출하는 경우 관세 타격을 피할 수 없는 만큼, 한국 제약·바이오기업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해외 위탁 생산을 하고 있는 일부 국내 업체는 이미 미국 현지 업체를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친기업적 성향을 지니고 있으나 1기 때도 제약회사들과는 관계가 좋지 않았다며 업계가 원하는 바를 얻어내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시절부터 미국 국민이 다른 나라 국민보다 약값을 더 비싸게 지불하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낸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미국이 다른 나라들보다 처방 약에 더 큰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약값 인하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