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전세 사기 예방법
지방 주택시장을 중심으로 ‘깡통전세’ 위험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깡통전세란 전세 가격이 매매 가격과 비슷하거나 매매 가격보다 높은 매물을 뜻합니다. 통상적으로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금과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80% 이상일 때를 말하는데요. 만일 집주인이 채무를 해결하지 못할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1, 깡통전세 위험신호 부동산 리서치 업체 부동산 R114에 따르면, 매매 및 전세 거래가 이뤄진 전국 아파트 중 약 8%(2,243건)가 깡통전세이거나 깡통전세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그중에서 76.4%(1,714건)가 지방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살펴봤을 때 전북(21.5%), 경북(19.0%), 충북(18.1%), 전남(1..
경제/부동산
2022.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