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약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인상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한방약 가격 상승률이 역대 최초로 10%를 웃돌았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한방약 소비자물가지수는 124.63으로 작년 112.82보다 10.5% 급등했다. 2005년 한방약 물가지수가 집계된 이후 상승률이 10%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한방약 물가지수는 2005년 68.550에서 2006년 68.441로 0.2% 하락한 적 있지만 2007년 이후로는 18년 연속 상승했다.

 

지난해 한방약 물가 상승률은 의약품 가격 상승률 1.9%에 비해 5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작년 소비자물자지수 상승률 2.3%에 비해서도 4.5배 수준에 달해 전체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한방약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은 원재료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예컨대 우황청심원 가격의 최고 70%를 차지하는 우황 가격은 2012년부터 상승세를 보였으며 작년 초에는 1년 전의 2배인 1㎏당 2억5000만원대로 치솟았다. 일부 제약사들이 우황 가격 상승을 감당하지 못해 우황청심원 제조·판매를 중단한 점이 한방약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기도 했다.

 

한편, 한방약에 이어 소화제(8.3%), 피부질환제(7.8%), 감기약(5.2%), 치과구강용약(4.9%), 비타민제(3.5%), 진통제(3.4%), 위장약(3.4%), 진해거담제(2.5%) 등 대부분 의약품 가격 상승률이 작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웃돌았다.

 

이러한 의약품 가격 상승 흐름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원부자재 비용 상승 추세가 이어지자 제약사들은 연초부터 의약품 가격 인상에 나섰다. 광동제약은 이달부터 비타민제인 비타500 100mL와 180mL 가격을 각각 1100원, 1700원으로 100원씩 인상했으며 보령은 진해거담제 용각산쿨을 7~8%, 위드원바이오는 키미테를 7.9%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제약은 다음 달부터 박카스D 가격을 10.9%, 박카스F 11.1% 인상하기로 했으며 오는 4 1일부터는 피부질환제 애크논 크림과 애크린 겔의 공급가를 14.8% 인상할 계획이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