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 인하기에 은행 예·적금 이탈 가속화
주식·가상자산·금 등으로 투자금 이동
추가 금리 인하 예고에 머니무브 지속 전망

시중 5대은행 정기예금 추이
시중 5대은행 정기예금 추이

 

본격적인 금리 인하기에 접어들며 예·적금 금리가 평균 2%대로 떨어지자 은행을 이탈하는 자금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정기예금은 최근 3개월 새 약 26조원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까지는 증시 불안정성에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은행으로 유입됐지만, 올해 들어서는 예·적금 금리마저 뚝 떨어지며 자금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요구불예금이 올해 들어 다시 감소추세로 돌아선 것으로 조사됐다. 시중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요구불예금은 지난해 11월 608조2330억원에서 12월 631조2335억원으로 늘었다가 올해 들어 다시 627조4067억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 달 새 2조8268억원이 감소한 것이다. 요구불예금은 언제든 입·출금이 가능한 데다 금리도 연 0.1%에 불과해 투자 대기성 자금으로 분류된다.

 

정기예금도 최근 3개월 새 26조원가량 감소했다. 시중 5대 은행의 정기예금은 지난해 11월 948조2201억원에서 12월 927조916억원, 올해 1월 922조2998억원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최근 3개월 새 25조9203억원이 줄어든 것이다. 이는 본격적인 금리 인하기에 접어들면서 시중은행의 예·적금금리가 평균 2%대로 뚝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시중 5대은행 요구불예금 추이

실제로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시중 5대 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2.40~3.10% 수준으로 전월 취급 12개월 만기 정기 예금금리 2.79~3.23%보다 0.13~0.39%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은행에서 빠져나간 자금은 국내 증시와 미국 증시, 코인, 금 등 다양한 투자처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시 대기성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지난해 11월 초 49조8900억원에서 이달 초(2월3일 기준) 58조2317억원으로 8조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증시뿐 아니라 미국증시로도 자금이 흘러 들어간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7일까지 미국 주식 매수·매도결제액을 합한 거래대금은 2019억1319만달러(약 293조366억원)로, 월평균 약 97조원을 기록하며 국내 증시에 흘러 들어간 자금보다 두 배가량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가상자산 및 금 등 대체투자 분야로도 자금이 몰렸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일일 평균 거래대금은 약 25조원으로 나타났다. 코인과 더불어 대표적인 대체 자산으로 꼽히는 '금'으로도 자금이 몰렸다. 시중은행 중 골드뱅킹을 운영하는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8353억원으로 지난해 말 7822억원 대비 531억원이 늘어났다. 약 한 달 새 500억원이 넘는 자금이 몰려들었다. 골드뱅킹 계좌 수도 25만2332좌에서 27만5424좌로 2만좌 넘게 늘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조가 수신금리 인하에 영향을 미치며 고금리 특판 ·적금을 찾기 어려워졌다" "특히 올해 들어 추가 금리 인하가 예상되면서 당분간 같은 머니무브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말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