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DI ‘AI로 인한 노동시장 변화’보고서 펴내
대부분의 일자리, AI로 대체 가능

 

2030년이 되면 국회의원, 판·검사, 변호사 등의 전문직도 인공지능(AI)에 의해 대체될 위험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요셉 연구위원은 15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AI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 방향’에 대한 보고서를 펴냈다.

 

그는 “이르면 2030년에는 업무의 90%를 AI로 자동화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90%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고서에서 밝혔다.지난해 기준 70% 이상의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일자리가 39%에 달했는데 AI 발전으로 대체할 수 있는 고위험 일자리가 급속도로 늘어날 것이란 얘기다.

 

직업별로 보면 전체 업무를 AI로 자동화할 수 있는 직업은 2030년 기준 주방장 및 요리 연구가(100%), 세탁원(100%), 재봉사(100%), 각종 기계 조작원(100%) 등으로 조사됐다. 고용 시장에도 악영향국회의원(64%), 고위공무원(64%), 대학교수(64%), 판·검사(69%), 변호사(74%) 등은 자동화 가능 업무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모두 50%를 넘었다.

 

한 연구위원은 “2030년 이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생각되던 직업군을 포함한 대부분의 일자리가 매우 높은 자동화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며 “임금이 낮을수록 자동화 가능성이 높고 월 900만원 이상의 고소득 직종에서는 다시 자동화 가능성이 소폭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났다”고 진단했다.

 

AI가 청년 고용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도 담겼다.한 연구위원에 따르면 AI 영향률이 10% 상승할 경우 지역 내 남성 청년의 임금 근로는 3.3%포인트 감소했다. 여성 청년의 임금 근로는 5.3%포인트 하락해 AI 도입에 따른 충격이 남성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한 연구위원은 “청년들이 기술 이해도가 높아 채용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증분석 결과 AI 영향률 확대는 유독 청년층 고용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이 같은 현상은 경직된 노동시장 때문이라는 게 한 연구위원의 지적이다. 기존 인력을 쉽게 내보낼 수 없는 기업 입장에선 AI 도입 후 신규 채용을 줄일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도 제시했다.AI 등장으로 인한 청년 고용 위축을 완화하기 위해선 교육의 유연성이 중요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우리나라는 전공 칸막이가 심해 입학한 그대로 대학을 졸업하는 경향이 강하다이런 구조 아래에선 AI 기술 변화에 대한 제대로 대응할 없다 말했다. 연구위원은대학에서 전공을 바꿀 있게 길을 터주는 중요하다. ”전공별 쏠림 현상이 심화할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적어도 청년의 진로 선택 관점에선 유연성이 필요하다 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