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센터 비교
데이터센터 비교

 

글로벌 AI 패권경쟁으로 데이터센터 확보전이 뜨겁다. 일론 머스크는 최근 내놓은 그록3 시리즈가 오픈AI의 챗GPT보다 성능이 우수한 비결로 AI 데이터센터를 꼽았다. 그는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칩(GPU) H100 10만개를 연결한 H100 클러스터를 122일 만에 구축해 그록3을 학습시켰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최근 GPU 규모를 20만개까지 늘렸다.

 

SK텔레콤은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 2025'에서 단시간에 구축 가능한 '소규모 모듈러'부터 빅테크(대형 IT기업)와 협업한 100㎿(메가와트)급 하이퍼스케일(hyperscale)까지 다양한 AI 데이터센터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도 2027년까지 수도권 최대규모의 AI 데이터센터를 준공한다는 목표다. 

SK텔레콤은 가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AIDC)를 오픈했다.
SK텔레콤은 가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AIDC)를 오픈했다.

하지만 한편에선 혐오가 쏟아진다. 전자파 괴담으로 인한 님비현상으로 수도권에선 첫 삽을 뜨기도 힘든 실정이다. 데이터센터 운영에 막대한 전력과 용수가 필요하다 보니 글로벌 데이터센터 허브로 꼽히던 싱가포르마저 2019년부터 신규 설립을 중단했다. 글로벌 빅테크가 모인 미국 애틀랜타에서조차 "데이터센터 개발에 너무 많은 토지와 자원을 투자했다"는 반성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센터를 확대하면서 지역반발을 줄이기 위해 △비수도권 구축시 전력계통 영향평가 우대 △항만배후단지, 공항지원시설 등으로 입지 다변화를 추진한다. 전문가들은 여기에 추가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존 프리처드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이사는 머니투데이에 "비수도권 데이터센터는 네트워크 인프라, 접근성, 운영인력 확보 등 과제가 남아 기업에 추가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