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례적으로 구체적 병명까지 공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주요 경영 히스토리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주요 경영 히스토리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방광암 투병 사실을 공개하고 그동안 맡은 대부분 역할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히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13일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는 카카오그룹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CA협의체 공동 의장에서 물러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방광암이 발견돼 집중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했다.

 

지난해 10월 말 김범수 창업자는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지 3개월만에 보석으로 풀려난 바 있다.

 

보석 조건은 주거 제한과 보증금 3억원을 비롯해 수사 관련 인물을 만나는 등 수사에 영향을 미치는 일체의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김 창업자가 풀려나면서 카카오는 '총수 부재'라는 최악의 상황을 벗어날 수 있게 됐지만, 보석의 조건을 보면 이후 그의 행동반경에는 상당한 제약이 뒤따랐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지난해 7월 구속되기 5일 전까지 김 창업자는 대부분의 카카오 쇄신안을 제시해 마련하기도 했다. 2023년 11월부터 운영한 경영쇄신위원회는 준법과신뢰위원회 신설, 인적 쇄신, 거버넌스 개편 등 그룹 쇄신의 기본 틀을 만들었다.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를 카카오 대표로 내정하고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등 주요 계열사 대표를 새로 선임하는 등 그룹의 변화를 이끌 인물들을 발탁했다.

 

카카오 계열사는 김 창업자 구속 직전 기준 124개로, 1년여 전 공정위 발표 당시(147개)보다 23개가 줄었다. 

 

김 창업자 입장에선 쇄신안의 큰 그림을 잡은 가운데 건강악화가 겹치면서 CA협의체 공동 의장 자리를 내려놓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집단 총수가 구체적 병명과 함께 투병 사실을 밝히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일부에선 사법 리스크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앞서 법원이 김범수 창업자를 구속영장을 발부한 이유로 "증거인멸과 도망의 우려가 있다"고 한 것은 카카오 내외부에 상당한 충격파를 던졌다.

 

업계 관계자는 "김 창업자는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최고의 벤처 기업을 키운 인물인데, 흉악 범죄자를 현행범으로 잡았을 때 쓰이는 표현이 나와 충격적이었다"고 했다.

 

한편 창업자는 CA협의체 공동 의장에선 물러났지만 그룹의 비전 수립과 미래 전략을 그려가는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직책은 계속 수행한다. 그룹 전체의 경영이나 사업 관련 총수 자리와 역할은 놓지 않았다고 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