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각국 9일 상호관세 대응 분주

인도·베트남 맞춤 협상 개시
이시바, 금주 트럼프와 통화
EU,
 빅테크 데이터 규제 검토

트럼프 관세發 침체공포 확산
JP
모건 “올 미국경제 역성장”

트럼프의 관세폭탄
트럼프의 관세폭탄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으로 ‘R(경기 침체)의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의 관세 대상이 된 국가들뿐만 아니라 미국도 경제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보복 대응 등 관세전쟁이 격해질 수 있는 데다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들도 피해를 볼 수밖에 없어 소비심리가 급격히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한다고 발표한 10%의 기본관세는 5일 발효됐다. 한국 등 60여 개국에 부과한 상호관세는 9일 발효된다.

 

미국 JP모건은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로 인해 올해 미국 경제가 역성장에 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마이클 페롤리 JP모건 미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이전 1.3%에서 -0.3%로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실업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해 추가로 실업자가 거의 200만명 증가할 것으로 수정 전망했다. 앞서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일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미국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같은 날 브루스 캐스먼 JP모건 미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세계 경제에 미칠 악영향에 대해 경고한 바 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성명서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은 “더딘 성장의 시대에 글로벌 전망에 중대한 위험”이라고 지적했다.

 

세계 각국은 관세전쟁의 ‘본게임’이라고 할 수 있는 상호관세 발효 예정일인 9일을 앞두고 앞다퉈 협상에 나서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미국의 상호관세(일본 24%) 조치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과 이번주 중 전화 협의를 할 뜻을 밝혔다. 니혼게이자이신문과 교도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이날 요미우리TV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하면 미국의 고용을 만들고 일본의 이익이 되는지를 이야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미국 온라인 매체 액시오스는 소식통을 인용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7일 백악관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보도대로 방문이 이뤄진다면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을 대면해 관세 협상을 시도하는 첫 외국 지도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스라엘은 미국의 관세를 피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모두 철폐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상호관세안 발표를 통해 이스라엘에 17%의 관세율을 부과한 바 있다.

 

상호관세율이 각각 46%, 27%에 달하는 베트남과 인도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와 관련한 협상에 재빠르게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면서 럼 서기장이 대미 관세율 인하를 비롯해 협상 의사를 밝혔다고도 전했다.

 

미국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베트남 말고도 인도 측과 접촉해 이들 국가에 대한 관세를 완화할 수 있는 맞춤형 무역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영국은 트럼프 행정부의 기본관세 10%만 부과받았지만 관세율을 더 낮추기 위해 미국 측과 협상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영국 매체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키어 스타머 총리는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올여름 트럼프 대통령을 스코틀랜드에 초청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총리실은 백악관에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 가능 시점으로 6월 또는 8월 말~9월 초 두 가지 일정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SNS 엑스(X)에 올린 글에서 “세계 경제가 미국이 부과한 관세의 영향을 받는 가운데,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지속적인 논의에서 우리 입장을 긴밀히 조정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도 공동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블룸버그와 현지 매체 등에 따르면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는 회원국 지도자들과 연이어 통화하며 미국 관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협의 중이다. 동남아 각국은 아세안 협의와 별도로 미국과 협상에도 나선 상태다.

 

그런가 하면 유럽연합(EU)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에 미국 빅테크들에 대한 데이터 사용 규제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에리크 롱바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프랑스 주간 르주르날뒤디망슈(JDD)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유럽 차원에서 규제, 재정, 관세 등 여러 수단을 쓸 수 있다”며 “예컨대 특정 환경 요구 조건들을 강화하거나 특정 디지털 플레이들의 데이터 사용을 규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외국 정부와의 관세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우선순위가 아니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익명의 미국 당국자들을 인용해 5일 보도했다.

 

현재 백악관은 관세 부과를 이행하는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분석이다. 백악관 관계자는트럼프 대통령은 항상 외국 지도자의 전화를 받고 가능한 거래를 논의할 의향이 있지만 그것은 협상이 아니다 말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