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은, 기준금리 4회 연속 동결 결정
이창용 “연내 금리 인하 언급은 부적절”
가계부채 증가세에 우려 표해…시장에선 내년 금리 인하 예상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이 7월에도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물가가 잡히기 시작하면서 금리 동결을 통해 시장 상황을 볼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은은 추가 인상 가능성도 제시했지만, 시장에서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가계부채 부실 우려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동결, 물가상승률 둔화 근거로 들어

13일 한은은 금통위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연 3.50%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올해 2월과 4월, 5월에 기준금리를 동결했고, 이번에도 같은 결정을 내렸다.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 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동결과 관련해 “물가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지만 8월 이후에는 다시 3% 내외 수준으로 높아지는 등 상당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주요국의 통화정책, 가계부채 흐름 등도 지켜볼 필요가 있어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한미 기준금리 추이

이 총재는 기준금리 동결이 금통위원 전원 일치라고 전했다. 다만 그는 올해 연말로 갈수록 물가 상승률이 다시 오를 수 있는 만큼 연내 금리 인하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전했다. 그는 “금리 인하 시기가 연말이 될지, 언제가 될지 못 박는 포워드가이던스(사전예고 지침)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 6명 모두 기준금리를 3.75%로 가져갈 가능성을 열어두기로 했다”며 “물가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근원물가가 높은 수준이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얼마나 몇 번 올릴지 불확실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가계부채 증가 "여러 금융위원들 우려 표해"

이 총재는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 증가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한은에 따르면 6월중 은행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5조9000억원 증가했다. 전달 4조2000억원 대시 증가 규모가 커졌다. 이는 2021년 10월에 기록한 5조2000억원 이후 가장 큰 증가액이다.

 

이와 관련해 이 총재는 “중장기적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이는 거시적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금통위 회의에서도 여러 금통위원들이 가계부채 증가세에 많은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

 

최근 역전세난 심화로 정부가 집주인에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완화하는 조치가 나왔는데, 이에 대해 이 총재는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해 자금흐름의 물꼬를 뜨는 미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중장기적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이는 거시적 대응에도 균형 있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의사봉 두드리는 이창용 총재

특히 이 총재는 “가계부채가 예상 밖으로 늘어난다면 금리뿐만 아니라 거시건전성 규제 강화 등 여러 정책 옵션을 통해 대응할 것”이라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다시 밝혔다.

 

이 총재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지난해 106%에서 올해 103% 수준으로 내려왔는데, 중장기적으로는 80%까지 내려야 한다는 기준도 제시했다.

 

시장에서는 한은의 향후 기준금리 인상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도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금통위원 전원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 뒀다는 입장이지만 지금까지의 한은 행보로 보면 ‘가능성’에 불과하다”며 “연말까지 3.5%로 동결한 후 내년 1분기부터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금통위는 기준금리 인상도 인하도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다”며 “인상하게 되면 경제 성장률이 발목을 잡고, 인하하면 가계부채와 근원 물가 및 대외 금리차에 따른 환율 변동 이슈가 걸린다”고 설명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