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경영진단' 착수
삼성그룹이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옛 비메모리 반도체) 사업 경영진단에 착수했다.
경영진단 결과에 따라 조직 개편 등 후속 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관련업계에선 예상했다.
7일 한국경제신문 보도에 따르면, 삼성 경영진단실은 지난 1월부터 삼성전자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역할을 하는 시스템LSI사업부를 경영진단하고 있다.
이 매체는 이어 "경영진단실은 시스템LSI사업부 감사를 끝마치는 대로 파운드리사업부를 들여다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경영진단실이 시스템반도체 사업 조직을 1호 감사·컨설팅 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대규모 투자에도 불구하고 기대만큼 성과를 못 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반도체 설계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가 포함된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삼성이 2019년 미래 먹거리로 선정해 집중 지원했지만, 대만 TSMC 등 경쟁사에 밀려 대규모 적자를 내고 있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는 6년 전 “2030년까지 171조원을 투입해 시스템반도체 1위에 올라서겠다”는 비전을 내놨지만 수율 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해 고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갤럭시S25에 시스템LSI사업부가 설계하고 파운드리사업부가 생산한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엑시노스 2500' 대신 퀄컴의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적용했다.
시스템LSI사업부의 이미지센서는 일본 소니에 막혀 점유율 20% 벽에 갇혀 있고, 파운드리 점유율은 TSMC에 밀려 2020년 2분기 18.8%에서 지난해 4분기 8.2%로 추락했다.
경영진단 결과에 따라 조직 개편 등 후속 조치가 불가피할 것으로 관련업계에선 예상했다.